Daily Life/끄적끄적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뭐길래? 대상부터 신청방법까지 총정리!

kang2oon 2025. 7. 15. 14:38
728x90
반응형

민생회복 소비쿠폰 7월 21일부터 신청 시작
이미지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요즘 장바구니 물가도 오르고, 외식 한 끼도 부담되는 시대죠.
정부에서 서민들의 생활 안정을 돕고, 골목 상권을 살리기 위해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원합니다. 
혜택 놓치지 않게 핵심 내용을 알기 쉽게 정리해 드릴께요. 저도 기억하고 정리하는 입장에서~~

✅ 민생회복 소비쿠폰이란?

민생경제 회복을 위한 조치로 소비활성화와 소상공인 및 자영업자 매출확대를 위해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합니다. (총예산 13.9조 원)

구분 내용
대상 전 국민 대상 지급
지원금액 1인당 15~55만원, 소득별 맞춤형 지원 및 단계적 지급
지원방식 1차: 전국민 1인당 15~40만원 우선 지급
2차: 전국민 90%에게 1인당 10만원 추가 지급
신청 및 지급 기간 1차: 2025-07-21(월) ~ 2025-09-12(금)
2차: 2025-09-22(월) ~ 2025-10-31(금)
신청방법 온라인: 카드사ㆍ지역사항상품권 홈페이지, 앱, 콜센터, ARS
오프라인: 제휴운행 영업점. 읍면동 주민센터
사용처 지역사랑상품권: 지역사랑상품권 가맹점
신용ㆍ체크ㆍ선불카드: 연 매출액 30억원 이하 매장
사용기한 2025-11-30(일)까지
반응형

👤 대상별 지원금액

구분 상위 10% 일반국민 차상위ㆍ한부모가족 기초수급자
1차 선지급
(비수도권/농어촌 인구 감소지역)
15만원
(+3만원/+5만원)
15만원
(+3만원/+5만원)
30만원
(+3만원/+5만원)
40만원
(+3만원/+5만원)
2차 추가지급 - +10만원 +10만원 +10만원
합계
(비수도권/농어촌 인구감소지역)
15만원
(18만원/20만원)
25만원
(28만원/30만원)
40만원
(43만원/45만원)
50만원
(53만원/55만원)

1차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모든 국민을 대상으로 하되, 소득 수준에 따라 지급 금액이 달라집니다. 차상위 계층과 한부모가족은 30만원, 기초생활수급자는 40만원을 지급하고, 이에 해당되지 않는 국민에 대해서는 15만원을 지급합니다. 
동시에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지역 균형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비수도권(서울ㆍ인천ㆍ경기 제외) 주민은 3만원, 농어촌 인구감소지역(84개 시군) 주민은 5만원을 추가로 지급할 예정입니다. 

농어촌 인구감소지역은 지급기준일(25-06-18) 기준 84개 시군입니다. 

구분 농어촌 인구감소지역(84개)
대구(총 1곳) 군위군
인천(총 2곳) 강화군, 옹진군
경기(총 2곳) 가평군, 연천군
강원(총 12곳) 고성군, 삼척시, 양구군, 양양군, 영월군, 정선군, 철원군, 태백시, 평창군, 홍천군, 화천군, 횡성군
충북(총 6곳) 괴산군, 단양군, 보은군, 영동군, 옥천군, 제천군
충남(총 9곳) 공주시, 금산군, 논산시, 보령시, 부여군, 서천군, 예산군, 청양군, 태안군
전북(총 10곳) 고창군, 김제시, 남원시, 무주군, 부안군, 순창군, 임실군, 장수군, 정읍시, 진안군
전남(총 16곳) 강진군, 고흥군, 곡성군, 구례군, 담양군, 보성군, 신안군, 영광군, 완도군, 장성군, 장흥군, 진도군, 함평군, 해남군, 화순군
경북(총 15곳) 고령군, 문경시, 봉화군, 상주시, 성주군, 안동시, 영덕군, 영양군, 영주시, 영천시, 울릉군, 의성군, 청도군, 청송군
경남(총 11곳) 거창군, 고성군, 남해군, 밀양시, 산청군, 의령군, 창년군, 하동군, 함안군, 함양군, 합천군

 

🗣️ 누가 신청해야 하나?

(온라인) 신용ㆍ체크카드 및 지역사항상품권은 대상자(성인) 본인이, '본인명의'로만 신청할 수 있고, 충전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다만, 미성년 자녀(2007.01.01. 이후 출생자)는 주민등록상 세대주 명의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오프라인) 신용ㆍ체크카드는 카드와 연계된 은행창구에서 신청이 가능하며, '본인명의'로 신청ㆍ 수령만 가능합니다.
- 선불카드, 지류ㆍ카드형 지역사항상품권은 읍면동 주민센터에서 신청할 수 있고, 신청자 개인 및 대리인 신청 및 수령이 가능합니다.
- 은행창구, 읍면동 주민센터에서 신청하는 경우 모두 미성년 자녀는 주민등록상 세대주 명의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본인 신청 시 신분증(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모바일신분증 등)을 지참해야 하고, 대리인 신청 시 대리인 신분증, 위임장, 본인-대리인 관계 증명서류를 지참해야 합니다. 

📅 신청은 언제부터 가능한가요?

1차 신청 기간은 7월 21일(월) 오전 9시부터 9월 12일(금) 오후 6시까지입니다. 
마감 시한인 9월 12일(금) 오후 6시가 지나면, 신청할 수 없기 때문에 지급 대상자는 반드시 기간 내에 신청해야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단, 온라인ㆍ오프라인 신청 모두 시행 첫 주(07-21 ~ 07-25)에는 원활한 신청을 위해 '요일제'를 적용합니다. (출생 연도 끝자리 기준)

월(07-21) 화(07-22) 수(07-23) 목(07-24) 금(07-25) 토ㆍ일(07-26~)
1, 6 2, 7 3, 8 4, 9 5, 0 모두

다만, 읍면동 주민센터를 통한 오프라인 신청은 지역별 여건에 따라 요일제 적용이 연장될 수 있습니다. 

💳신용ㆍ체크카드ㆍ선불카드로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받으려면?

신용ㆍ체크카드로 지급받고 싶다면, 7월 21일부터 충전을 희망하는 카드의 카드사 홈페이지, 앱, 콜센터 ARS 및 카카오뱅크, 케이뱅크, 토스, 카카오페이간편결제, 네이버페이간편결제 앱을 통해 온라인 신청할 수 있습니다. 
온라인으로 신청하기 어려운 경우 7월 21일부터 각 카드사와 연계된 은행영업점(09:00~16:00)을 방문하여 신청하면 됩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가능한 카드사ㆍ앱ㆍ은행
- 카드사: KB국민카드, NH농협카드, 롯데카드, 삼성카드, 신한카드, 우리카드, 하나카드, 현대카드, BC카드
- 모바일 앱: 케이뱅크, 카카오뱅크, 토스(토스뱅크), 카카오페이(간편결제), 네이버페이(간편결제) 앱
- 은행영업점: KB국민은행, 신한은행, NH농협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IBK기업은행, SC제일은행, IM뱅크, 수협은행, 새마을금고, 우체금예금, 부산은행, 광주은행, 전북은행, 경남은행, 제주은행, 전국 저축은행(체크카드 취급점) 및 농협, 축협, 신협

선불카드는 주소지의 읍면동 주민센터(09:00~18:00)에서 방문ㆍ신청할 수 있습니다. 

728x90

🛒 사용 지역 제한, 사용불가 업종이 있나요?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받은 지역이 특ㆍ광역시 지역(세종ㆍ제주 포함)이라면 해당 특ㆍ광역시 내에서 사용이 가능하고, 지급받은 지역이 도 지역이라면, 도 소재 시ㆍ군 지역 내에서 사용이 가능합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소상공인 지원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지급하는 것으로, 대형마트, 기업형 슈퍼마켓, 백화점 및 면세점, 대형 전자제품 판매점, 프랜차이즈 직영점 등에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유흥ㆍ사행업종, 환금성 업종 등도 사용불가 업종에 포함됩니다. 

⏰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언제까지 사용 가능한가요?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소상공인 지원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지급하는 것으로, 소비 촉진을 위해 사용 기한이 제한되어 있습니다. 신용ㆍ체크카드에 충전된 민생회복 소비쿠폰, 선불카드, 지역사항상품권(모바일형, 카드형)은 11월 30일(금)까지 사용할 수 있습니다. 11월 30일(금)까지 사용하지 못한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소멸됩니다. 
※ 지역사랑상품권(지류형)도 11월 30일(금)까지 사용할 것을 권고합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개요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방법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처
이미지 출처: 행정안정부

📍2차 지급 계획은 어떻게 되나?

1차 지급과 별도로 2차 지급은 건강보험료를 활용한 소득 선별 과정을 거쳐 국민의 90%를 대상으로 1인당 10만원을 추가 지급합니다. 

신속한 지급을 목표로 한 1차 지급과 달리, 선별 과정에서 시간이 소요되는 2차 지급은 9월 22일 시작되어 10월 31일 종료될 예정입니다. 

2차 지급은 건강보험료를 기준으로 국민의 90%를 대상으로 선정하되, 건강보험 지역가입자와 직장가입자 간의 형평성을 확보하기 위해 건강보험료 외의 고액자산가를 제외할 수 있는 기준을 추가로 적용한 대상자 선정 기준을 마련하여 9월 중 발표할 계획입니다. 

2차 지급 대상자 선정 기준 등에 대한 세부적인 사항은 지급 준비가 완료되는 대로 추후에 안내할 예정입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