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IT 45

워드프레스 멀티사이트에 단독 도메인 사용하기!

워드프레스는 2.x 대 버전까지는 Wordpress Mu(Multi User)이라는 버전으로 다중 사이트를 지원하였습니다. 이후 3.x대 버전으로 버전이 바뀌면서 MU 서비스 대신 멀티사이트가 워드프레스 자체적으로 포함이 되었습니다. 그런데 이 멀티 사이트 기능을 이용하다보면 서브 도메인 혹은 서브 디렉토리를 이용한 주소체계를 사용해야 하는 점이 아쉬운 점인데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무료 플러그인이 있어 소개하고자 합니다. 플러그인의 이름은 'WordPress MU Domain Mapping'입니다. 1. 플러그인 설치 워드프레스 멀티사이트를 세팅한 후, 대시보드의 Network Admin 메뉴에서 플러그인을 설치합니다. 플러그인 설치 방법은 원하는대로 할 수 있습니다. 위의 플러그인 다운로드 사이트..

IT/CMS 2012.08.31

워드프레스 자동저장(Autosave), 리비전(Revision) 조절하기

워드프레스(WordPress) 2.6부터 자동저장(autosave) 및 리비전(revision) 기능이 제공되고 있다. 유용한 기능임에도 불구하고 글을 수정할 때마다 늘어나는 리비전을 보고 있노라면 지우고 싶은 마음이 굴뚝같다. 워드프레스 자체적으로 자동저장과 리비전에 대한 설정을 할 수 있게 해주면 좋으련만, 세세한 제어는 고사하고 기능을 켜고 끌 수 있는 단순한 선택권 마저 주지 않는다. 발빠른 사람들의 도움으로 플러그인이 나와서 그 아쉬운 부분을 채울 수는 있지만, 늘어나는 플러그인 목록이 부담스러워 이것저것 다 설치하기도 선뜻 내키지는 않는 일이다. 다행히 자동저장과 리비전 기능은 간단한 방법으로 제어할 수 있다. 손 볼 파일은 wp-config.php 이다. 그렇다, 처음 워드프레스를 설치할 때..

IT/CMS 2012.08.23

Wordperss의 Permalink를 Short URL로 치환하기

워드프레스의 고유주소(Permalink)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하고 사용이 가능합니다. 일반적인 Permalink는 /?p=숫자 의 구조를 가지지만, SEO를 위해 고유주소를 /%postname%/ 이나 /%category%/%postname%/, /%post_id%/%postname%/ 등과 같은 형태로 많이 변형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경우 SNS로 공유하는데 있어 permalink의 주소가 너무 길어지다보면 특히 한글의 경우 알수 없는 문자로 치환까지 되다보니 많은 글자수를 차지하게 되어집니다. 그래서 Short URL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많은 Short URL을 제공해주는 사이트가 있습니다. 그런데 이 Short URL을 어떻게 공유하는 곳에 사용하게 할 수 있을까? 하는 것이 ..

IT/CMS 2012.08.21

JigoShop 원화 추가 관련 수정 사항

Jigoshop은 기본적으로 각 국가별 환률 단위에 한국의 원화가 누락되어 있어 국내 가격 표시를 위해 추가적인 수정이 필요합니다. 추후 결제와의 연동 단계에서 추가적인 프로그램적인 검증이 필요하겠지만, 관리자 화면의 설정이나 프론트 페이지의 원화 표기를 하기 위해서는 2가지 파일의 수정이 필요합니다. 1. jigoshop/admin/jigoshop-admin-settings-options.php 관리자 페이지의 설정값에 한국의 원화를 추가하기 위해 수정이 필요. array( 'name' => __('Currency', 'jigoshop'), 'desc' => sprintf( __("This controls what currency prices are listed at in the catalog, and..

IT/CMS 2012.07.27

워드프레스 사용자 등급별 역할이해하기

워드프레스 블로그는 다른 블로그 툴과는 다르게 작성자가 1인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에 워드프레스 블로그는 운영하다보면 마음 맞는 사람들을 모아 같이 블로깅하고자 할 경우에 사용할 수 있으며, 신문이나 기업에서 권한을 부여하여 글을 올릴 경우에도 적절하다. 이런 역할을 정의하고 구분해 줄 수 있는 것이 바로 회원제 시스템의 도입으로 사용자의 가입을 받을 수 있거나 새로운 사용자를 추가할 수 있도록 하여 일반적인 블로그처럼 1인 미디어로서 국한하는 것이 아니라 다중의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었다. 워드프레스는 사용자 등급별 역할과 권한이 매우 체계적으로 되어있어 진정한 CMS(Content Management System)의 장점을 누릴 수 있다. 워드프레스에서는 기본적으로 6가지가 있으며 가..

IT/CMS 2012.07.12

다중의 다이나믹 사이드바 만들기

워드프레스의 사이드바 영역은 위젯을 사용하기 반드시 필요한 영역이 아닐까 합니다. 필요한 적재적소에 사이드바를 위치시켜 필요한 위젯들을 배치하여 테마를 더욱 풍성하고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을 것입니다. 그 사이드바의 생성하고 관리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그 첫 단계는 워드프레스 테마에 포함되어 있는 function.php 을 아래 구문을 추가하여 사이드바 영역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위와 같은 형식으로 필요한 수량 만큼의 사이드바를 생성할 수 있는데 사이드바 생성에 필요한 요소들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위의 소스처럼 배열로 정의된 사이드바의 속성들에 따라 해당 테마에서 사이드바의 갯수 및 위치 속성들이 정의되어 집니다. 실제 적용한 샘플 코드를 확인..

IT/CMS 2012.07.03

블로그 방문자 폭주의 비밀...

처음 블로그를 시작했던 것은 언제인지도 기억이 나질 않지만 꾸준히 하나를 오래 써오진 못했던 것 같습니다. 처음 네이버 블로그로 시작했다가 워드프레스를 설치해서 사용하다, 태터툴즈도 설치했다가 그 다음에 또 XE의 텍스타일을 깔아서 써보다가 다시 워드프레스로 사용하다 몇 번을 새로 시작하고 몇 년의 기간이 흐르며 많은 툴을 써보다 작년 초 정도부터 티스토리를 사용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러면서 약 1년 조금 넘는 기간 하루 약 150~200명의 방문자들이 그래도 꾸준히 방문해 주셔서 1년만에 방문자 57,000회를 넘기며 그래도 꾸준히 사용해 오고 있는 블로그 중에 하나였던거 같습니다. 개인적인 일상적인 이야기를 올리고 있지만 많은 분들이 방문해서 가끔이나마 댓글도 남겨주시고, 반응도 보여주시면 참으로..

IT/Tistory 2012.06.29

[plugin] WP-Popular Posts Tool

오늘 소개할 워드프레스 플러그인은 'WP-Popular Posts Tool' 입니다.원래 처음 관심을 가지고 설치를 하려고 했던 플러그인은 'Popular Posts Bar Widget' 이었습니다. 우선 2가지 플러그인의 안내 페이지(사이트)는 아래와 같습니다.WP-Popular Posts Tool : 바로가기Popular Posts Bar Widget : 바로가기 Popular Posts Bar Widget 의 형태가 마음에 들어 처음에는 구입을 하려고 했습니다. $8(약 9,600원)정도의 가격이니 구입을 하려고 하다고 그래도 혹시나 하는 마음에 비슷한 플러그인이 있는지 워드프레스 공식사이트에서 검색을 해보았습니다. 그랬더니 아니나다를까 비슷한 형태의 플러그인이 존재하더라구요. 바로 WP-Popul..

IT/CMS 2012.06.28

갤럭시 넥서스... 황당 구입기...

지난 금요일(27일) 우연치 않게 휴대폰을 바꾸게 되었습니다. 모토로이(XT720) 모델을 예약판매로 구입하여 2년을 사용했지요.. 5일 모자라게.. 결국 5일을 참지 못하고 버럭 갤럭시 넥서스를 구매하게 되었는데요.. 구매 후 많은 부분이 저를 좀 의심스럽게 하는 것들이 있네요.. 그래서 이렇게 구입기를 작성해 봅니다. 제가 구매한 매장은 서울 삼성역 앞에 있는 Tcafe 입니다. ZOO Coffee와 함께 매장을 합쳐서 리모델링한 곳으로 SKT와 ZOO의 시너지를 위한 복합공간이죠.. 평소 넥서스를 구입하고자하는 생각을 가지고 있던차 점심 먹고 우연히 방문한 매장에서 넥서스릐 실물을 보고 만져보고 잠깐 사용해 보면서 넥서스가 가지고 싶다는 생각이 확~~ 들더군요.. 그래서 확인해보니 위약금은 없고 마..

IT/신제품 2012.01.31

JPGmini - 작은 이미지, 빠른 웹사이트

이미지의 용량을 획기적으로 개선해주는 웹서비스가 있어 소개드립니다. 저는 웹디자이너로 일을 하다보니 언제나 이미지의 용량과 퀄리티에 민감할 수 없는 것이 사실인데요.. 어제 이 서비스를 보고 솔직히 많이 설레이고 이런 서비스도 가능하구나 하는 생각을 했습니다. 특히 웹디자이너로 일을 하다보면 이미지의 용량이 언제나 걸리는 부분이 사실이잖아요.. 그렇다고 퀄리티가 너무 떨어지는 것도 그렇고.. 그래서 포토샵을 비롯 다양한 이미지 변환툴을 이용해 이미지의 퀄리티와 용량이 적절한 수준을 찾아서 작업을 하곤 하는데요.. 이 서비스는 단순히 이미지를 웹에 업로드하는 과정으로 이 모든 과정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JPGmini 라는 서비스인데요... 사이트 설명은 파일을 압축하여 어떤한 손실도 없이 80%까지 이미..

IT/Web 2011.09.02
728x90